주식과 부동산

선물과 옵션, 경제용어정리 2편

쿠크다스 2021. 7. 12. 17:16
반응형
SMALL

선물거래는 미리 계약된 가격을 미리 지불하고 미래의 상품을 매매하는 약속이고, 옵션은 계약된 가격에 상품을 사거나 팔 수 있는 권리에 프리미엄을 지급하는 것으로 정리할 수 있습니다.

1. 선물거래란?

선물거래의 선물은 先物의 뜻과 같이 물건의 양도양수에 이전하여 하는 매매거래를 뜻합니다.

 

물건이나 금융자산을 건네기 전 계약된 시점과 가치를 지급하는 거래인데, 지불방식은 선지급 또는 신용으로 후지급 하거나 레버리지 등을 이용하기도 합니다.

 

권리에 대한 프리미엄을 지급하여 계약시점에 프리미엄을 포기하면 되는 옵션과는 달리 선물거래는 반드시 계약에 명시된 가치를 지급해야 하는 부담이 있습니다.

 

선물거래는 미래의 예측불가능한 변동성에 대비하여 상호 이해타산이 맞는 경우에 계약하는 본질의 거래제도 입니다.

 

선물거래와 옵션거래는 아주 오래된 거래된 방식인데 제도화된 유래로는 시카고상품거래소(CBOT)에서 계약의 불이행이나 상품에 대한 표준화를 감시하여 공정거래가 이어질 수 있도록 감시하면서 본격적으로 제도권에서 이루어지게 되었습니다.

 

처음에는 밀, 쌀, 옥수수와 같은 농작물로 시작하였는데 이후 금, 석유와 같은 원자재를 포함하여 증권이나 채권 등으로 확대 되었고, 파생상품으로 나스닥, 다우지수, 코스피, 코스닥과 같은 지수마저도 거래를 하고 있습니다.

 

 

2. 선물거래의 예

선물거래와 옵션을 동시에 이해하기에는 실생활에서 아파트 청약과 분양에 대한 내용이 이해가 조금 쉽습니다.

 

청약당첨이 되면 아파트를 인도 받을 권리를 받게 되는데, 전매제한이 없다는 가정하에 우리는 이 아파트를 권리금(프리미엄)을 받고 팔 수 있기도 하고 청약시 명시된 금액을 지불하고 아파트를 분양 받을 수 있습니다.

 

이 때 청약으로 받은 아파트를 살 권리가 옵션, 아파트를 선물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청약이 당첨되거나 권리를 판매한 후 인프라와 같은 주변여건으로 그 가치가 상승하면 프리미엄이 올라가게 되고 선물의 가치가 높아지는데 가장 쉽게 연상할 수 있는 선물거래의 개념입니다.

 

3. 선물거래의 리스크

선물거래는 앞서 살펴본 내용과 같이 미래의 변동성을 사전에 최소화 하기 위한 수단으로 폭락과 폭등의 혼란을 사전에 감소하기 위한 헷징수단으로 이점이 있으나 주식을 빌려서 판매하는 공매도와 지수를 판매하는 등 상식선에서 조금은 벗어난 선물거래가 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거래들이 정상적이지는 않고 투기의 영역으로만 접근한다면 어쩔 수 없이 현대의 금융에서는 도태될 수 밖에 없는 것도 현실인데 레버리지를 활용하거나 가격변동의 외적요인이 추가된다면 리스크는 더 커질 수 있어 개인투자자가 접근할 때에는 도박보다도 어려운 확률게임으로 ETF를 통한 헷징수단을 준비하는게 더 좋다고 생각됩니다.

 

선물거래의 리스크는 아래와 같이 두 가지를 먼저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1) 레버리지 : 레버리지는 잘 쓰면 약이 되지만 선물거래에서는 약속시점에 반드시 이행을 해야 하는 구조로 큰 손해를 볼 수 있습니다. 선물거래를 신용으로 10%의 증거금을 가지고 10배를 구입했는데 약속이행에 가치변화에 하락이 생긴다면 이 하락분에 대한 레버리지까지 모두 손해로 돌아온다는 점입니다.

 

(2) 상품가치변동 : 예를들어 A라는 제품을 선물거래할 당시 1만원이라고 가정해보겠습니다. 계약된 기일에 A라는 제품이 5천원으로 폭락을 하게 되면 개당 5천원의 손해가 발생하는건 물론, 레버리지를 사용했다면 레버리지를 사용한 비율만큼 추가적인 손해가 발생합니다.


최근 변동장에는 경제회복에 따른 기대로 폭등을 하다가 다시 코로나바이러스의 델타변이의 확산으로 급락을 하기도 했고, 경제회복신호에 테이퍼링으로 조정을 당하기도 했습니다.

 

이러한 변동장에서 장투를 하기위한 방법 중 하나로 옵션과 선물을 잘 활용한 ETF를 통해 헷징수단을 준비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인데 이 ETF를 이해하기 위한 선행학습으로 포스팅을 해보았습니다.

 

다음 글 들에서는 변동장에서 다른 자산의 하락을 보완해 줄 수 있는 ETF로 고려중인 JEPI와 QYLD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출처 : etfdb.com

 

출처 : etfdb.com

 

출처 : etfdb.com
출처 : 구글금융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