쫓고 쫓기는 카카오와 네이버의 시총 3위 싸움, 카카오와 네이버가 연일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최근 주식시장이 가치주에서 성장주로 다시 움직이는 현상이 보이는데 이 현상에 앞서 카카오가 먼저 연일 상승을 이어가며 시총 3위자리에 올랐습니다. 네이버가 이제는 차례를 이어 받은 형상인데 둘 중에 무엇을 사야할지 고민이 생기고 주가가 비싸서 매수를 고민하시던 분들께 도움이 될 수 있는 ETF를 소개합니다.
이전 글에서 미국 ETF중에 코스피 시총순위로 고르게 비중을 두어 투자하는 ETF 상품을 소개해 드렸는데, 코스피 상승에 투자를 하면서 달러보유를 하고 싶은 분들께서 참고하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https://noworries.tistory.com/99
1. TIGER 소프트웨어 기초정보
TIGER 소프트웨어는 미래에셋자산운용이 운용하고 있습니다.
FnGuide 소프트웨어 지수를 추종하며 이 지수와 유사한 변동률에 따라 투자신탁 재산을 운용하는데 비중은 주로 인터넷서비서, IT서비스, 일반 소프트웨어, 게임 소프트웨어에 속하면서 3개월간 일평균 시가총액이 150억, 일평균 거래대금이 1억, 유동주식비율 10% 이상의 대상종목을 시가총액순서인 가증방식으로 80%의 비중으로 구성합니다.
운용수수료는 0.4%로 ETF치고 높은편이지만 성장을 기대할 수 있는 섹터이며, 주가가 비싼 주식들을 비교적 경제적으로 매수할 수 있는 장점도 있습니다.
분배금은 있지만 0.05%대로 적은 편이며, 연 1회 매년 5월에 입금해 오고 있습니다. 매매차익은 비과세이고, 배당금에 대한 소득세는 15.4%를 적용합니다.
2. 보유종목 및 업종
보유종목을 살펴보면 카카오(29.14%) - 네이버(25.54%) - 엔씨소프트(18.97%)순으로 상위 3개 종목에 73.65%의 비중이 편중되어 있습니다. ETF 치고는 많은 비중이 상위 3개에 편중되어 적절한 밸런싱은 아니라고 생각이 되는데 네이버, 카카오의 성장기대가 크고, 엔씨소프트도 크래프톤 상장이후 재평가를 받게 될 수 있는 기대가 있어 이 부분을 주의 깊게 살피던 분들께 좋은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3. 주가흐름 및 운용성과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위종목 비중이 큰 ETF인데 카카오가 165,000원 네이버는 425,000원 엔씨소프트는 828,000원으로 각각 주가가 높은 편이며, 역시나 카카오의 성장이 두드러져 보입니다.
TIGER소프트웨어의 주가를 확인해 보면 2018년 6,200원 대에서 현재가 19,580원 까지 300%이상의 수익을 내고 있고, 2020년 코로나팬더믹 기간에는 비대면종목의 주목으로 특히 가파른 성장세를 볼 수 있습니다.
펀드상품 설정이후의 운용성과를 살펴보아도 FnGuide소프트웨어 지수와 거의 괴리감이 없는 준수한 성적이며, 현재 적정주가(NAV)가 19,590원 임을 감안할 때 카카오와 네이버의 상승기대와 여력 + 엔씨소프트의 주가회복과 크래프톤상장에 따른 재평가가 이루어 진다면 추가로 좋은 퍼포먼스를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카카오와 네이버, 그리고 게임 소프트웨어의 강자 엔씨소프트에 주로 투자하는 157490, TIGER소프트웨어 ETF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ETF의 장점인 보유비중의 분산투자가 조금은 약한 편이라는 리스크가 있지만 여전히 매력적인 종목들로 구성되어 있고, 퇴직연금에 활용할 수 있으며 포트폴리구성에 해당 종목 편입을 고려하고 있다면 좋은 대안이 될 수 있는 펀드입니다.
'주식과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주식 시총순위, 배당수익률 검색하는 방법소개(인베스팅닷컴) (2) | 2021.06.30 |
---|---|
현대차 우선주 종류와 차이점 정리(현대차우, 현대차2우B, 현대차3우B) (0) | 2021.06.29 |
카카오뱅크 상장, 주식청약 전 기업정보 체크하기 (0) | 2021.06.23 |
DC형 퇴직연금 상품추천_AB미국그로스증권투자신탁(주식-재간접형)Ce-P2 (4) | 2021.06.21 |
ETF추천 EWY, FLKR_코스피 시총상위, 고민될 때 다 투자하는 방법 (0) | 2021.06.18 |